강북구에서 심폐소생술 홍보 캠페인을 함께 할 봉사자를 모집합니다.
강북구보건소 의약과에서 CPR의 중요성을 알리는 목적으로, 일반인을 대상으로 심정지의 위험성과 CPR(심폐소생술),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을 교육 받고, 지역 내에서 캠페인 활동을 수행하는 봉사 캠페인입니다.
심정지는 언제 어디서나,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데요. 심정지 발생 후 골든타임은 단 4분으로, 이 시간을 놓치면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이 급격히 감소합니다.
2022년 기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7.8%, 뇌기능회복률은 5.3%로 나타났으며,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2년 6.9%에서 2022년 29.3%로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, 주변 사람들의 초기 대처의 부족으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여전히 낮은 편입니다.
심정지 환자의 대부분인 65%가 가정에서 발생하고, 18%가 공공장소에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,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골든타임 내에 응급처치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
모집인원은 총 30명 청소년 및 성인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, 모집기간은 2025년 1월 9일까지, 교육은 수유보건지소에서 2025년 1월 11일 토요일, 오후 2시부터-4시까지 2시간 진행됩니다. 신청은 1365자원포털에서 가능하고, 궁금한 점은 02-901-2281~2 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.
신청하러 가기▸
Source I Martin Splitt from Unsplash
Cover image source I Manseok Kim from pixabay
강북구에서 심폐소생술 홍보 캠페인을 함께 할 봉사자를 모집합니다.
강북구보건소 의약과에서 CPR의 중요성을 알리는 목적으로, 일반인을 대상으로 심정지의 위험성과 CPR(심폐소생술),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을 교육 받고, 지역 내에서 캠페인 활동을 수행하는 봉사 캠페인입니다.
심정지는 언제 어디서나,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데요. 심정지 발생 후 골든타임은 단 4분으로, 이 시간을 놓치면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이 급격히 감소합니다.
2022년 기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7.8%, 뇌기능회복률은 5.3%로 나타났으며,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2년 6.9%에서 2022년 29.3%로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, 주변 사람들의 초기 대처의 부족으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여전히 낮은 편입니다.
심정지 환자의 대부분인 65%가 가정에서 발생하고, 18%가 공공장소에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,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골든타임 내에 응급처치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
모집인원은 총 30명 청소년 및 성인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, 모집기간은 2025년 1월 9일까지, 교육은 수유보건지소에서 2025년 1월 11일 토요일, 오후 2시부터-4시까지 2시간 진행됩니다. 신청은 1365자원포털에서 가능하고, 궁금한 점은 02-901-2281~2 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.
신청하러 가기▸
Source I Martin Splitt from Unsplash
Cover image source I Manseok Kim from pixabay